영어의 어순 (Word Order, 語順)
- 작성자
- 고친과정
2025년 3월 26일 : 처음씀
영어는 단어를 나열하는 순서가 중요한 언어
1.1. 어순 자리에 들어가는 구분
- 주어 (S, Subject, 主語) : 서술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문장 성분. 문장의 주성분의 하나. 서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가 되는 말.
- 서술어 (V, Predicate, 敍述語) :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 / 상태 / 성질 등을 설명하는 문장성분
- 자동사 (Intransitive Verb, 自動詞) : 목적어를 갖지 않는 동사
- 자동사에 전치사를 함께 사용하면 타동사가 됨
- Ex) I go to school
- 자동사에 전치사를 함께 사용하면 타동사가 됨
- 타동사 (Transitive Verb, 他動詞) : 하나 이상의 목적어를 갖는 동사
- 자동사 (Intransitive Verb, 自動詞) : 목적어를 갖지 않는 동사
- 보어 (C, Complement, 補語) : 문장에서 주어, 서술어, 목적어를 보완하여 완전한 형태를 이룰 수 있게 해 주는 요소
- 목적보어(OC) : 목적어를 설명하는 보어 (명사 / 형용사 / 현재분사 / 과거분사 / to 부정사 / 동사원형 6가지 형태)
- 목적어 (O, Object, 目的) : 문장에서 동사의 대상이 되는 말로, 주어가 행한 행위를 받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르키는 것
- 간접목적어(Indirect Object, IO)
- '~에게/에' 조사 격에 해당하는 목적어
- 직접목적어(Direct Object, DO)
- '~을/를' 조사 격에 해당하는 목적어
- 간접목적어(Indirect Object, IO)
1.2. 영어의 형식
- 1형식 : 주어(S) + 서술어(V)
- 2형식 : 주어(S) + 서술어(V) + 보어(C)
- 3형식 : 주어(S) + 서술어(V) + 목적어(O)
- 4형식 : 주어(S) + 서술어(V) + 간접목적어(IO) + 직접목적어(DO)
- 5형식 : 주어(S) + 서술어(V) + 목적어(O) + 목적보어(OC)
1.3. 영어의 의문문
- (who / whose / when / where / what / why / which / whom / how) + (must / will / would / shall / should / can / could / may / might) + (I / you / we / they / he / she / this / that / it) + ... ?
1.4. 영어의 명령문
- 직접 명령문 : 2인칭인 상대방에게 명령 (주어 You를 생략하는 형태)
- (동사원형) ~
- Ex) Sit down
- Ex) Read the book
- Ex) Be quiet
- Ex) Be careful
- Ex) Please sign here
- Don't (동사원형) ~
- Ex) Don't be late
- Ex) Don't swim in this river
- (동사원형) ~
- 간접 명령문 : 2인칭인 상대방을 통해 1인칭 또는 3인칭에게 명령/부탁/제안
- Let's (동사원형) ~
- Ex) Let's go
- Ex) Let's play soccer
- Ex) Let's start the meeting
- Let (목적어) (동사원형) ~
- Ex) Let her go
- Ex) Let me use your pen
- Ex) Let him play the game
- Don't let ~
- Ex) Don't let him die
- Let (목적어) not ~
- Ex) Let us not waste our time
- Let's (동사원형) ~